본문 바로가기

Home

라우즈 산 (시내산???) 사진: 사해 엔게디에서 찍은 산양입니다. 무엇을 바라보고 있을까요? 본 글은 BR 16:02, Apr 2000 에 실린 Allen Kerkeslager 의 글중 "비전문 고고학자가 진자 시내산을 발견했는가?"를 번역한 것입니다. 비전문 고고학자가 진짜 시내산을 발견했는가? 1988년 월 스트리트의 백만장자 레리 윌리암스와 전직 경찰관 밥 코르누크는 몰래 사우디 아라비아로 밀입국하여 시내산이라고 일컬어지는 제벨-알-라우즈 산 탐험을 하였다. 이들은 손에 성서, 출애굽기를 들고 모세가 십계명을 받은 곳의 증거를 찾기 위해 산 정상을 올랐다. 사진: 레리 윌리암스 (왼쪽)와 밥 코르누크 (오른쪽) 윌리암스와 코르누크는, 고고학자 론 와트와 데이비드 파솔드가 1986년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할때 이집트의 보물.. 더보기
성서 네러티브 읽기 사진: 우리나라에서 공수해온 독서대입니다. 생각보다 커서 좋네요. 오늘은 기밧드람, 히브리대 도서관에 와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잠깐의 외도(?)이지만 Mt. Scopus 도서관보다 분위기가 좋은데요. 지난 여름 만났던 히브리어 선생님 오하드 코헨이 기밧드 람 도서관이 더 좋다고 한 말이 이해가 됩니다. 춥지도 않고요. 도서관에 들어와 보니 오하드 코헨이 저 한쪽 구석에서 공부를 하고 있네요. 얼마전에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한 후 수정을 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열심히 뭔가를 하고 있습니다. 어제 함께 수업을 듣는 '르브가'라는 이스라엘 친구에게 수업 내용 요약한 것을 보내달라고 부탁했죠. 흔쾌히 그렇게 하겠다고 하고는 보내주었습니다. 친절하게 다음에 또 보내주겠다는 메시지와 함께요...그래서 오늘 도서관.. 더보기
떨기나무 - 과연 시내산 논쟁의 종착지인가? 사진: 아마 최근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시내산 논쟁에 가장 관심을 기울이고 있을 듯 싶은 낙타입니다. 평생 그 높은 산을 오르 내렸는데, 이거 잘되면 더 이상 그 높은 산을 오를 필요가 없을테니까요. 아래 글은 2000년 6월 Bible Review 에 실린 것으로 성서에 언급된 시내산 / 호렙산 내용을 중심으로 본 관점입니다. 시내산은 어디인가? 신비에 싸여 있는 거룩한 산이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도 그렇기 때문에 그 산이 더욱 거룩하게 여겨지는 것이 아닐까? 라우즈 산이 시내산일까? A. 드보라의 노래 "여호와여 주께서 세일에서부터 나오시고 에돔 들에서부터 진행하실 때에 땅이 진동하고 하늘이 물을 내리고 구릅도 물을 내렸나이다. 산들이 여호와 앞에서 진동하니 저 시내산도 이스.. 더보기
학기 시작과 데모 사진: 빈 강의실입니다. 이번 학기 히브리어 배울 강의실인데 아무도 없네요. 지난 21일 개학을 하지마자 "선생님들이 데모"를 해서 개점 휴업 상태로 들어갔습니다. 이거 새학기를 시작하면서 공부좀 열심히 해야겠다 생각했더니 도와주지를 않네요. 우리 나라에서는 상상도 안가는 일이겠지만 여기 이스라엘에서는 종종 선생님들이 데모를 한답니다. 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은 벌써 13일째 데모를 하고 있고 대학 선생님들은 오늘까지 5일째입니다. 문제는 "월급"과 "구조 개선"인데요. 중.고등학교 선생님 월급이 평균 130만원 정도이니 근로자 평균 월급 약 200만원에 비하면 높은 것은 아니죠. 이에 15% 월급 인상을 놓고 줄다르기를 하고 있고 학생들은 때아닌 방학 (?)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사진: 옆 강의실입니다... 더보기
제 1차 성전시대 유물들이 발견되다. 사진: 감란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예루살렘 구도시입니다. 유대인과 모슬림에게, 예루살렘에서 가장 중요한 성지가 어디냐고 묻는다면, 주저함 없이 성전산 (유대인) 혹은 알 악사 회교 사원과 황금돔 (모슬림)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지난 겨울부터 성전산으로 연결된 다리 아래쪽에서 행해진 고고학 유적 발굴은 유대인과 모슬림 사이에 긴장관계가 형성되었을뿐 아니라 유혈 충돌이 벌어지기도 했었습니다. 오늘자 하아레쯔 인터넷 신문에 의하면 이스라엘 고고학자들이 성전산으로 들어가는 다리 낭간 아래쪽 고고학 발굴 현장에서 제 1차 성전시대와 관련된 유물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발견된 유물들은 기원전 6-10세기경으로 추정되는 동물 뼈들과 도자기 조각, 그릇의 테두리 조각들,병 사금파리, 작은 항아리 손잡이, 저장용 항아리 .. 더보기
사해 물이 말라간다? 사진 설명: 히브리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사해입니다. 멀리 사해 북쪽 끝자락이 보이네요. 두번째 사진은 엔게디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사해는 해수면 아래로 400미터 이상 아래 있습니다. (최근 세계에서 가장 낮다고 하는 엔게디에 가보니 - 419 미터 정도이더군요) 요르단과 이스라엘 사이에 위치한 사해 바다는 역사적으로, 과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소금 바다입니다. 이미 말한대로 지상에서 가장 낮은 사해는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마다 1미터씩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과학자들과 정치가들은 홍해물을 사해로 끌어들이는 거대한 작업에 착수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한 국제회의에서 이스라엘과 요르단은 공동으로 홍해 - 사해 송수관 연결 (320 킬로미터) 계획.. 더보기
이스라엘 근로자들의 평균 임금 (2007년 7월 기준) 사진 설명 (클릭하면 원본 사이즈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예루살렘 구도시 서쪽 벽 (일명 통곡의 벽)과 유대인 구역을 돌아봤습니다. 자동차 사이드 미러 떨어져서 고치려고 했더니, 통체로 갈아야 한다고 해서 주문하고 오후 3시에 받기로 하고 빈 시간에 다녀왔습니다. 근데 결국 사이드 미러는 받지 못했죠. 흰색 주문했는데 검은색이 왔더군요. 게다가 흰색은 아애 없으니까 도색해서 쓰라고 하더군요..애구..애구... 집에 깨진 거울 조각 테이프로 칭칭 감아 타고 있는데 영 불편하고 위험해서 빨리 갈고 싶은데 큰일이네요...푸념입니다. 아 사진 설명 잊었군요. 보시다시피 유대인들 기도하는 모습이고요. 젊은 청년이 벽을 바라보며 심오한 모습으로 기도하기에 찰칵했고, 아저씨는 기도책을 얼굴에 대고 슬퍼하는 모습을.. 더보기
정경의 탄생 - 히브리 성서는 고난과 상실을 실증하는 것. 사진 설명: 야다 쉬모나 키부츠, 성서 정원에 있는 "타작 마당과 농기구"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 사이즈를 볼 수 있습니다) "너희 타작 마당과 포도주 틀의 소출을 수장한 후에 칠일 동안 초막절을 지킬 것이요" (신 16:13) "손에 키를 들고 자기의 타작 마당을 정하게 하사 알곡은 모아 곡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 (마 3:12) " 내가 가지고 있는 이 단편 조각들은 나의 파멸을 빼앗아 간다" 슬픔에 찬 이 싯구와 함께 T. S. Eliot는 위대한 "황무지" 라는 시의 결론을 맺는다. 기묘하고, 비극적이며, 감동적인 시로 세계 대전들 중에 현대 시의 극절정을 보여준 "황무지"는 1922년에 출간되었다. 유럽의 낙관주의는 제 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그 방어 진지가 참혹하게.. 더보기
히브리 성서와 구약 성서의 순서 차이 사진설명: 예루살렘 근방 "야드 하쉬모나" 키브츠내에 있는 성서 시대의 망대 모형입니다. "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세우는 자의 수고가 헛되며 여호와께서 성을 지키지 아니하시며 파수꾼의 깨어 있음이 헛되도다" (시 127:1) 유대인과 기독교인들이 함께 공유하는 성서는 모든 측면에 있어 동일한 것은 아니다. 히브리 성서 - 기독교에서는 구약 성서로 불리는-의 순서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아래 차트는 그 순서의 차이점을 보여주는데, 유대교의 성서는 세개로 나누어 진다: 토라, (모세 오경), 네비임 (선지서) 그리고 케투빔 (지혜서). 선지서는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 그리고 열왕기를 전기 선지서 (the Former prophets), 그리고 이사야, 에레미야, 에스겔, 그리고 12 .. 더보기
시내산 논쟁 관련 학자들과 참고 문헌 사진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것입니다. 요즘 "떨기나무" 라는 책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인정하는 시나이 반도에 있는 시내산이 아닌 사우디 아라비아의 "라우즈" 산이 모세가 하나님의 율법을 받은 시내산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죠. 그럼 성서학과 고고학계 학자들은 어디에 시내산이 위치해 있다고 주장할까요. 각각 주장하는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를 그릴 수가 없어 학자들과 참고문헌, 위치 그리고 산 지명을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1. 시나이 반도 남쪽에 있는 Jebel Musa (전통적으로 알려진 시내산)을 주장하는 학자들과 참고 문헌 Robinson, Edward "Biblical Researches in Palestine, Mount Sinai and Arabia Petraea .. 더보기
시내산 율법 이전에는 죄 문제를 어떻게 다루었는가? 사진 설명: 예루살렘 구도시내에 있는 서쪽벽 (흔히 통곡의 벽이라 함) 안쪽에서 기도하는 유대인. 서쪽벽은 유대인들에게 가장 성스러운 장소로 여겨지는 곳입니다. 솔로몬 성전과 제 2차 성전이 무너진 후 성전을 지탱하는 외벽 역할을 하던 벽으로 , "...나는 네가 건축한 이 성전을 거룩하게 구별하여 내 이름을 영원히 그 곳에 두며 내 눈길과 내 마음이 항상 거기에 있으리니..."(왕상 9:3) 라는 말씀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영광이 여전히 이 서쪽벽에 있다고 믿죠. (사진은 인터넷에 다운로드 받은 것입니다. 출처- http://www.trekearth.com/gallery/Middle_East/Israel/photo728166.htm) 율법은 시내산에서 주어졌다. 그렇다면 시내산 이전은 어떠하였는가? 율법.. 더보기
잉카 제국의 인신 제사 고대 잉카 문명이 찬란하게 빛을 발하던 시기의 뒷 그늘에는 "인신 제사"의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는 고대 근동 지역, 특히 우르 (아브라함의 고향)에서 행해졌던 "인신 제사", 와 가나안 지역의 인신 제사 (?) (몰록 - 왕하 23:10 "왕이 또 힌놈의 아들 골짜기의 도벳을 더럽게 하여 사람으로 몰록에게 드리기 위하여 그 자녀를 불로 지나하게 하지 못하게 하고" - 여기서 몰록의 어원적 의미와 관련하여 인신 제사의 풍습이 존재했는지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물론 논쟁의 핵심은 인신제사를 드렸느냐? 아니면 단순히 불 가운데를 지나가게 했느냐? 에 대한 견해 차이입니다 )처럼 종교적 성향이 매우 짙은 행위였습니다. 최근 "National Geographic news" 인터넷판에 잉카에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