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썸네일형 리스트형 회당이 성전을 대체하였는가? 사진: 바람 회당 (북부 갈릴리): 이스라엘내에 있는 회당들중 가장 잘 보존된 회당. 주후 70년 로마 제 10군단이, "하나님의 이름"이 거하는 장소이며 유대교에서 가장 거룩한 곳인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시켰다. 그러나, 성전의 파괴에도 불구하고 유대교는 살아남았으며 오히려 번성하였다. 또한 수세기를 지나면서 유대 회당은 "거룩한 장소"로 여겨지게 되었다. 어떤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회당은 성전 파괴 이후에나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성전 파괴 이후에 성전의 기능을 대체하게 되었는가? 사실은 그렇지 않다. 주전 1세기 중엽 성전이 존재할 당시에도 공동체의 모임은 회당에서 이뤄졌다. 한편 회당이 성전의 기능을 대체하였는가? 라는 질문에 답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회당의 기원은 미스테리에 쌓여있다. 어떤.. 더보기 신구약 시대의 통화 (currency) 가치 신구약 시대 당시 이스라엘 내에서 통용되던 동전들의 가치를 오늘날의 원화로 환전한 목록입니다. 환율 적용은 $1당 1,000원으로 계산하였습니다. 1. 구약시대 세겔 (은화)---- $0.64 = 640원: 1세겔은 4개의 드라크마 혹은 4개의 데나리온과 같은 값입니다. 사진: 반세겔 (은화) - 성전세 (temple tax)로 냈던 돈 반세겔 (은화) ---- $0.32 = 320원 세겔 (금화) ---- $9.60 = 9,600원: 15개의 세겔 (은화)과 같은 가치 반세겔 (금화) ---- $4.80 = 4,800원: 15개의 반세겔 (은화)과 같은 가치) 미나 (은화) ---- $32.00 = 32,000원: 50개의 세겔 (은화)과 같은 가치 반-미나 (은화) ---- $16.00 = 16,00.. 더보기 과부의 두 렙돈 "예수께서 연보궤를 대하여 앉으사 무리의 연보 궤에 돈 넣는 것을 보실새 여러 부자는 많이 넣는데 한 가난한 과부는 와서 두 렙돈 곧 한 고드란트를 넣는지라 예수께서 제자들을 불러다가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 가난한 과부는 연보 궤에 넣는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저희는 다 그 풍족한 중에서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구차한 중에서 자기 모든 소유 곧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셨더라" (막 12:41-44) 위 동전들은 하스모니안 왕조의 알렉산더 안네우스(주전 103-76) 당시 주조되어 통용되던 렙돈과 프루토트이다. 이 동전들은 예수님의 사역 훨씬 이전에 주조가 되어지만 주후 1세기 당시 여전히 사용되던 동전이다. 렙돈과 프루토트는 예수님 당시 사용되던 동전 중 가장 가치가 낮은 .. 더보기 히포스에서 발견된 로마 군병의 샌달 자국 갈릴리 바다 동편에 위치한 헬라식 로마 도시인 히포스 (수시타)에서 로마 군병의 샌달 자국을 고고학자들이 발견하였다. 이 발자국은 미국 미네소타주의 콘콜디아 대학과 폴리쉬 연구소, 그리고 하이파 대학의 진만 고고학 연구소의 고고학자들의 (하이파 대학 아더 세갈 교수의 주도하에 진행) 8차례에 걸친 고고학 발굴과정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발자국은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누가, 왜, 그리고 언제 히포스 도시의 성벽을 건설하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 귀중한 단서가 되는 것이라고 하이파 대학 진만 연구소의 미카엘 엔스버그는 말한다. 이 샌달은 "칼리가"라 불리는 징이 박힌것으로 로마 군병들이 신던 것으로 군병들이 도시의 성벽 건설에 동참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히포스의 고대 도시는 해발 350미터 .. 더보기 예레미야서의 발전과정 - 맛소라 & 칠십인역 "슬프고 아프다 내 마음속에 아프고 내 마음이 답답하여 잠잠할 수 없으니 이는 나의 심령이 나팔 소리와 전쟁의 경보를 들음이로다" (렘 4:19) 예레미야서 (꼭 예레미야서라고 불러야 하는가?)는 성서의 책들이 기나긴 시간 동안 발전해 왔는가? 에 대한 탐구를 하는데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학적 용어로는 증인 (witnesses)이라고 말하기도 하는 두개의 버전이 있다. 첫번째는 맛소라 택스트로 알려진 히브리어 버전이 있으며, 두번째는 칠십인역으로 알려진 헬라어 버전이 있다. 맛소라 택스트는 칠십인역보다 20%가 더 길고 택스트의 배열 역시 서로 차이가 있다. 이는 다른 율법서나 예언서 택스트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두개의 택스트를 비교해 보는 것이 요구된다. 히브리어 맛소라 택스트는 헬라.. 더보기 최후의 만찬과 성배 사진: 히브리대 교정에서 찍은 것입니다. 요 몇일사이 기온이 올라가더니 꽃들이 만발하더군요. 드디어 겨울이 가고 여름이 오려나 봅니다. " 또 잔을 가지사 감사 기도 하시고 그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너희가 이 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마 27:27-28). 예수께서 최후의 만찬때 사용하셨던 잔 - 1897년 프랑스 화가 가스톤 데라토취의 그림에 묘사된 것-은 중세 시대때부터 "성배"로 알려져왔다. 순례자들과 기사들 그리고 고고학자들은 이 역사적인 유물을 찾기 위해 곳곳을 뒤졌다. 하지만 벤 베테른톤 3세가 주장하는 것처럼 성배는 엉뚱하게 알려져왔다. 성배는 예수와 그의 제자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로서 중요한 것이지, 흔히 말하는 .. 더보기 종려나무 사진: 마다바 지도 (요르단 - 6세기경)에 새겨진 종려나무 성서의 땅에서 볼 수 있는 나무중에 가장 독특한 나무가 있다면, 가지가 없이 길게 자라는 원줄기와 나무 윗쪽에서 길게 뻗어나가는 가지들을 볼 수 있는 종려나무일것이다. 종려나무는 시편 92:10 에서 시편기자가 찬양을 하기도 한 나무이다. "의인은 종려나무 같이 번성하며 레바논의 백향목 같이 발육하리로다" 또한 아가서에서도 비슷한 표현을 찾아 볼 수있다."네 키는 종려나무 같이 네 유방은 그 열매 송이 같구나 내가 말하기를 종려나무에 올라가서 그 가지를 잡으리라 하였나니 네 유방은 포도송이 같고 네 콧김은 사과 냄새 같고". 또 신약성서에서 종려나무는 승리의 상징을 묘사하기 위해 언급이 된다.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각 나라와 족속과 백성과 .. 더보기 예수 바라바 "바라바'는 사복음서에 나오는 범죄자로 유월절때 본디오 빌라도에 의해 사면된 인물이다. 다른 신약성서와 성서 이외의 문서에서는 그의 이름이나 생애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지 않는다. "바라바"는 아람어의 음을 그대로 헬라어로 옮긴것으로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논쟁이 되고 있다. 대부분 학자들은 "바르 아바 (아바의 아들)"로 아바지의 이름에 접사를 붙인 이름이라고 제안한다. 어떤 학자들은 "바라바"의 아버지 이름이 "아바"였다고 주장한다. 비록 예수 당시에 "아바"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요하난 벤 자카이" 시대 (주후 75년)에는 "아바"라는 이름이 언급된 것으로 봐서 "아바"라는 이름이 존재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학자들은, 바라바가 매우 잘 알려진 랍비의 아들이라고 말한다. 왜냐.. 더보기 돌무화과 나무 시크모어 무화과 (돌 무화과 나무) 돌무화과 나무는 나무의 원줄기가 매우 두텁고 질긴 잎파리를 지닌 매우 큰 나무이다. 아마 창 3:7 (이에 그들의 눈이 밝아 자기들의 몸이 벗은 줄을 알고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 치마를 하였더라)에 나오는 나무는 바로 돌무화과 나무 잎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중동 지역에서 자생하는 다른 종의 무화과 나무는 없기 때문이다. 열매는 나무의 원줄기에서 바로 맺는다. 일반 무화과 나무의 열매에 비해 매우 작은 편이지만 식용으로 사용이 되기도 하였다 (대상 27:28 "게델 사람 바알하난은 평야의 감람나무와 뽕나무 (sycamore trees)를 맡았고 요아스는 기름 곳간을 맡았고). 튼실한 열매를 얻기 위해서는 나무 열매들을 솎아주어야 한다. 아모스서에 보면 선지자 아모스가 돌.. 더보기 다윗왕의 무덤 1913년 프랑스 고고학자 레이몬드 베일은 다윗성의 동쪽 산비탈 발굴을 통해 몇개의 무덤터들을 발견한다. 베일은 자신이 다윗성에 있는 왕족의 공동 묘지를 발견했다고 믿는다. 하지만 많은 고고학자들이 동의하는 것처럼 베일이 발견한 무덤이 다윗이 장사된 곳이라고 말할수 있는 분명한 증거가 없다. 요세푸스는 헤롯 대왕( 주전 37-4년)이 다윗왕의 무덤에서 보물들을 빼내려고 시도했다고 기록한다. 헤롯이 보낸 두명의 도굴꾼들이 알수 없는 죽임을 당하자 그는 두려움에 사로잡히게 되고 무덤 자리 옆에 기념비를 세운다. 이 기념비는 의심할것없이 베드로가 오순절날 설교할때 인용한 것이다 (행 2:29): "형제들아 내가 조상 다윗에 대하여 담대히 말할 수 있노니 다윗이 죽어 장사되어 그 묘가 오늘까지 우리 중에 있도다.. 더보기 성전산의 역사 - 요약판 1. 제 1차 성전시대: 주전 1,000 - 586년 주전 14세기경 예루살렘은 이집트의 아멘노피스 3세와 다른 근동 지역을 통치하던 악헨아텐 당시의 외교문서인 아메르나 문서에 언급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성서에 의하면 주전 1000년경 다윗이 예루살렘을 함락한후 다윗성이라 칭하고 이스라엘의 수도를 삼는다. 훗날 다윗은 도시 상부에 있는 모리아 산 (유대 전통에 의하면 하나님께서 아브리함에게 그의 아들 이삭을 바치라고 한 곳- 창 22:2)에 한 제단을 세운다. 다윗의 아들 솔로몬은 성을 모리아 산까지 확장시킨다. 페니키아의 두로 (현대 레바논) 에서 파송된 건축 기술자와 함께 솔로몬은 다윗의 제단이 있던 그 자리에 첫번째 성전을 세운다. 350년 동안 솔로몬의 성전은 이스라엘 종.. 더보기 시온산의 위치 흔히 예루살렘 구도시 서쪽 산마루를 시온산이라고 부른다. 약 100-150년 전만 하더라도 학자들은 서쪽 산마루에 다윗 도시가 위치해 있었다고 믿었기 때문에 다윗왕의 무덤이 시온산에 있다는 전통에 그 어떤 이의를 달지 않았다. 하지만 탐험가들과 고고학자들의 조사는 전통적인 이 견해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한다. 1838년 미국의 에드워드 로빈슨은 예루살렘 동쪽 산비탈 아래에 있는 기혼샘 근처에서 터널을 발견한다. 이 터널의 용도는 무엇이었을까? 1880년에 터널 안쪽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독일 건축가 콘라드 식크는 이 터널이 히스기야가 8세기 후반 앗수르의 예루살렘 침공에 대비하여 물을 성내로 끌어들이기 위해 팠던 것임을 알게 된다. (왕하 18:13-19:37. 대하 32). 그럼 왜 서쪽 산마루가 아닌 ..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58 다음